본문 바로가기

교육과정개발사업/[한예종] 기업과 문화예술_2012년

[12주차] *특강* Art in Workplace - 미술이론과 신정원

○ 수업의 방향 및 목표

- 최근 기업에서는 기업 공간을 보다 창의적이고 소통이 원활한 ‘캐주얼 오피스’로 조성하려는 시도와 그에 맞는 모바일 IT 인프라를 구축, 창의성과 혁신, 다양성을 포용하는 조직문화를 창출하려는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다. 기업 내 조직원의 삶에 근본적 영향을 미치는 공간을 어떻게 문화예술이 변화시키고, 기업에 혜택을 가져다줄 수 있는지 다양한 사례와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함.

- 또한 이러한 현장의 파편적인 시도들을 공간-IT-조직문화-전략활동로 이어지는 지식경영의 선구자 노나카 이쿠지로가 저서 ‘창조적 루틴’ 제시하기도 한 프로네시스(지적 미덕)의 기업이 추구하는 경영활동, ‘미학적 경영’, ‘예술기반 경영’으로 정립하고 보다 체계적이며 확산 가능한 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방법을 고민해 봄.


○ ‘Art at Work: Corporate Art Collection’ 이란

- 사무 공간 등에 예술 작품 전시함으로서 근무 공간을 보다 인간적으로 만들고자 하는 기업의 전략적 활동.

- 초기에는 북미 유럽의 금융회사를 중심으로 art collection이 시작됨: 사무공간 전시 보다는 자산 투자의 일환으로 진행.

- 20세기 초부터는 북미 유럽의 부동산개발회사, 호텔, 병원 등을 중심으로 투자에서 전시로 중심 이동, 종업원의 근무환경 과의 관계와 관련된 전시이기 보다는 대 고객 차원/브랜드 이미지 개선 등을 위한 전시.

- 1970-80년대 서구에서는 인사관리의 trend로 사무공간, 공장 등에 예술품 전시 붐을 이룸.

- 1990년대 Fortune 500대 기업의 1/2 이상이 자체 콜렉션 보유.


○ 국내 미술 시장의 현황과 기업의 역할 확대 필요성

- 현재 연간 미술 시장 규모는 300억에서 800억 정도로 추산되며, 이는 여타 문화예술 시장의 규모와 비교하여 턱없이 적은 액수임. 몇몇 스타 작가에게만 집중되는 시장의 비정상적인 구조를 개선하여야 하며, 예술가의 안정적이고 창작활동을 하기 위한 기반 마련이 시급함.

- 보통의 아트 페어에서 거래되는 100~200만 원 선의 미술품 구매가 대중 및 기업에서 활성화 되어야 시장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 현재 많은 기업에서의 미술품 콜렉션은 고급 경영진의 집무실이나 복도경영진 사무실 안이나 복도 등 업무
공간 안으로 까지 확장되지는 못함.


○ Art at Work에 관한 연구(IAC)

- 2011년 총 1500여 개 British Council of Offices 회원회사에 질문지 발송.(10% 응답률)

- 87.4%가 예술품의 근무환경 개선 역할이 증가되었다고 응답.

- 93.8% 가 예술품이 근무환경을 더 친근(welcoming)하게 만든다고 응답.

- 15%가 미술품으로 장식된 사무공간에서 일할 때 더 신속하게 실수 없이 일 처리한다고 응답.

- 54.1%가 아트프로그램이 회사의 가치를 증대시킨다고 응답.


○ Art at Work 사례

1) Peter Stuyvesant Collection
- 네덜란드에 위치한 담배 제조 공장으로, 화려한 색감의 대형 회화 작품들을 공장 벽에 걸어서 직원의 업무 만족도와 행복감을 증진시킴. 

 
2) 마이크로 소프트
- 1987년 시작, 총 5,000여 점 보유, 180여 개 빌딩에서 전시.
- 전시 프로그램과 함께 employee program, collection stewardship, artist residency program 등 운영.
- 매월 1회 종업원과 고객, 지역민을 대상으로 세미나 개최.(작가와의 만남 , 예술 설명회 등의 형태)


3) 도이치 뱅크
- 홈페이지에 ‘Art builds. Art questions. Art transcends borders. Art works…’ 라는 슬로건이 게재.
- 가장 큰 corporate art collection (50,000여 점) 보유.
- 전 세계 1,000여 개 지점에 전시.
- 투자 대상으로서 Art collection 뿐만 아니라 identity와 브랜드 이미지를 높임.
 


4) 아모레 퍼시픽
- 용산 본사의 복도에 10층부터 1층까지 컬렉팅이 되어있음. 배병우 사진전 등 유명 작가의 작품이 주기별로 교체됨. 도슨트가 원하는 직원들에게 투어링도 제공함.

 

5) 한예종 복도 갤러리
- 한예종 미술원 복도에서는 학생들과 외부 예술가들의 작품을 연중 전시하고 있음. 작가들은 기회만 주어지면 작품 전시를 하는 것에 매우 협조적임. 어느 기업이나 복도를 활용하여 이러한 전시를 큰 비용부담 없이 기획해 볼 수 있을 것임.

- IAC의 연구에 따르면, 사무공간 속의 움직이는 미술품(kinetic art)이 더 많은 자극을 제공한다고 응답. 그러나 실제 사무공간의 예술품은 회화(73.9%), 사진(71.6%)인쇄물(55.7%),조각(40.9%)로 정적인 장식에 집중되어 있음.

○ 시사점

- 기업 공간의 예술화는 자기의 상품을 예술화 하는 것과 외부의 예술품을 콜렉션 하는 두 가지 유형이 있음.

- 예술작품의 도입 유형도, 예술작품의 단순 도입, 공간만 예술화 하는 유형, 공간도 만들고 예술품도 들여온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임.

- 국내 제조업 사례에도 적용 여지가 있을 것임.

- 학교와 기업의 비즈 모델로서는 조형예술과와 기업의 합의에 의해서 학생들에게는 작품 전시와 관객과의 소통 기회를, 기업 입장에서는 내부 공간을 아름답게, 창의적 조직문화 확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임.

- 미술 관련 예술기반 기업 활동의 예로는 요즘 그래픽 레코딩 제공하는 컨설팅 회사가 많아지고 있음. 디자인 페어에서도 조각으로 조직원의 창조력을 향상 시키는 퍼포먼스가 화제가 되기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