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지원사업/2012년 실행사업

[Daum] 조직원들이 주도하는 창조적인 삶 디자인을 꿈꾸다.

   | 기업 선정 이유 및 기획 배경

함께 세상을 즐겁게 변화시키는 다음, 제주에서 그 가능성을 실험하다

  -  다음 커뮤니케이션은 ‘세상을 즐겁게 변화’시키는 창업 비전을 기반으로 예술을 통한 기업 조직의 즐거운 변화를 추진하고자 함. 공유 가치를 만들기 위한 주체들의 ‘다중 삶 디자인’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예술을 조직 전반에 걸쳐 접목하려는 시도를 벌이고 있음

    ) 즐거움 연구회, 설레는 출장, 제주 사옥 클라이언트 위원회, 사내 동아리 등

  - 임직원 뿐 아니라 네티즌과 지역 커뮤니티와 함께 가능성의 생산자가 되기 위해 사회공헌활동에도 힘쓰고 있음.

특히, 2012년에는 제주도의 다음 스페이스.1으로 본사를 이전하였고, 2013년 완공될 다음 스페이스.2는 예술가와 조직원들이 함께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을 벌이는 공간으로 기획되고 있음. 임직원을 비롯한 관련 참여자들이 함께 ‘창조계급’으로 성장하여 ‘세상을 즐겁게 변화’시키는 비전을 견인하고자 함


 | 조직원들의 창조적 삶 디자인

•  조직원들의 창조적인 삶 디자인
인터넷 서비스 사업의 핵심 역량인 직원들의 창의성 발현과 다양한 직군, 본부간의 협업을 도모하기 위해,

     1) 기업의 일상 전반에 예술을 결합하는 파일럿 프로그램 
2) 2013년 다음 스페이스.2의 예술가 협업 프로그램을 위한 연구활동  추진한다.

다음이 ‘경영=예술’의 선도 기업으로 예술을 조직 전반에 걸쳐 접목하여

기업의 핵심 역량을 제고하는 성과를 거둘 뿐만 아니라,

기업 내외부 고객을 아우르는 공유 가치를 발견하고 확산하는 기업공헌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 진행일정 및 운영주체 

 

 | 예술과 일상의 결합 파일럿 시행 사례  

한예종 출신 전문 연주자와의 시범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의 다양한 일상(회의, 컨퍼런스, 점심, 휴식, 동호회

MT)과 예술의 결합이 상당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 문화예술 인력의 경력개발과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색소포니스트의 점심습격 사건 

7월의 여름 한낮의 한남동 다음커뮤니케이션 사옥

카페의 미니 버스가 오늘만은 음악 버스로 바뀌었다.

음악 버스의 차장은 바로 김영찬 님. 사내 평가기간이라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던 직원들의 마음을 일대일로

치유하는 임무를 맡았다.

 

     다음 UX 컨퍼런스

  

     UX 컨퍼런스는 창의적 산업의 최전선에 있는 IT 업계인들을

     위한 축제와 지식공유의 장으로, 아르꼼팀은 변화하는

     예술경영의 패러다임에 비추었을 때, 예술 UX란 무엇일지

     전달하였다.

 

 

 

제주도 한낮 소소한 음악회

제주도 다음커뮤니케이션 본사 'Daum Space‘

바람을 타고 들려오는 기타 소리.

업무 중간 잠깐의 여유를 느끼려 사무실 밖으로 나온 직원들은

기타소리에 이끌려 라운지로 향했다.